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문화관광용어 시리즈 - ㄹ,ㅁ

ArChiVe

by youngmanee 2011. 3. 18. 12:07

본문

 

ㅇ 라이브러리 에디션(Library Edition)

: 도서관용 도서, 도서관판

- 도서의 할인율이 자유로운 미국에서는 같은 내용의 책을 Hard Cover, Paper Back(Mass Market 포함), Library Edition 등 세 종류로 나누어 발간하고 있음

- Hard Cover(양장본)는 딱딱한 표지로 되어있는 책, Paper Back은 염가판 혹은 보급판의 성격을 갖는 책, Library Edition은 ‘도서관용 도서', '도서관판'을 말함

- Library Edition은 보통 정가(定價)보다 적게는 2~3배, 많게는 10배 정도가 비싸며, 이는 다수의 이용자가 열람하는 도서관 특성에 맞추어 장정이 튼튼하게 되어있고 보존에도 용이하게 되어 있으며, 무엇보다도 상업적 저작권에 대한 일정 정도의 보상 그리고 자국의 출판시장 보호 등에 목적을 두고 있음

- 우리나라도 자국의 출판산업 진흥을 위해서는 미국처럼 도서관이나 대여점에 책을 비치하려면 Library Edition을 구입하게 할 필요성이 있음

- 우리나라의 600여개의 공공도서관과 1만여개의 학교도서관 중 20% 정도인 2,120여개의 도서관에서 미국처럼 Library Edition을 구매한다면 출판사로서는 안정적으로 손익분기점을 넘길 수 있으며, 이것은 바로 작가들에 대한 안정적인 보상책이 될 수 있고, 출판사로서는 다시 양질의 도서에 대한 투자로 이어질 수 있다고 봄

 

ㅇ 람사르협약(Ramsar Convention)


-
습지의 보호와 지속가능한 이용에 관한 국제 조약으로, 정식명칭은 “물새 서식지로서 특히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에 관한 협약(The Convention on Wetlands of International Importance Especially as Waterfowl Habitat)”임

- 1971년 2월 2일, 이란의 람사르에서 체결되어 1975년 12월 21일부터 발효 되었으며, 우리나라는 2008년 10월 경남 창원에서 습지 보전을 위한 환경올림픽으로 불리우는 람사르 협약의 당사국 총회인 “제10차 람사르 협약 당사국 총회”의 개최를 앞두고 있음

- 협약의 배경 : 농경지 확장, 제방건설, 갯벌매립 등으로 습지가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현재 전 세계적으로 50% 이상의 습지가 소실되고 있는 상황에서, 습지는 생태학적으로 중요하며 인간에게 유용한 환경자원이라는 인식하에 습지에 관한 국제협약의 필요성이 대두됨

- 협약의 목적 : 생태ㆍ사회ㆍ경제ㆍ문화적으로 커다란 가치를 지니고 있는 습지 보전하고 현명한 이용을 유도함으로써 자연 생태계로서의 습지를 범국가적 수준에서 체계적으로 보전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임

- 협약 가입 현황 : 현재 158개국(‘08. 1월 현재)이 가입, 1,722개의 습지(약 1억 6천여ha)가 람사르 습지로 등록되어 중요하게 보호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1997년에 가입하여 현재 ‘창녕 우포늪’, ‘강원 용늪’, ‘전남 장도 습지’, ‘전남 순천만’ 및 ‘제주 물영아리’ 등 8개소(‘08. 1월 현재)가 람사르 습지로 등록되어 있음

- 국내의 람사르 등록 습지 : 대암산 용늪(1997년 3월 28일), 창녕군 우포늪(1998년3월 2일), 신안군 장도습지(2005년 3월 30일), 순천만 보성 벌교 갯벌(2006년 1월 20일), 서귀포(남제주) 물영아리오름 습지(2006년 10월 18일), 태안군 두웅습지(2007년 12월 20일), 울주군 정족산 무제치늪(2007년 12월 20일), 전남 무안 갯벌(2008년 1월 15일)

 


ㅇ 런던디자인페스티벌


- “밀라노가구박람회”, “파리 메종 & 오브제” 등과 함께 최고로 꼽히는 디자인 행사로서
'100% 디자인', '디자이너스 블록', '텐트 런던' 등의 행사가 런던 도시 곳곳에서 열림

- ‘100% 디자인’은 매년 9월 런던에서 열리는 런던디자인페스티벌의 대표적인 행사이며, 2003년 독자적으로 열리던 작은 행사들을 ‘디자인’이라는 이름 아래 통합하여 하나의 축제 형식으로 만든 것이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으며 해를 거듭할수록 규모면이나 내용면에서 급속한 성장을 이루어가고 있음

- ‘100% 디자인’은 런던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의 인테리어 제품 최신작과 혁신적인 디자인을 소개하는 행사로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전시라기 보다는 디자이너들과 바이어들을 위한 엑스포 성격이 짙으며, 디자이너들과 업계의 최신작을 소개하고 바이어들과의 상업적 연계를 성사시키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기 때문임

※ 관련용어 : 100% 디자인 런던

 


ㅇ 레시피(Recipe)


-
음식을 만드는 방법, 요리법, 조리법

 


ㅇ 레이아웃엔진(Layout Engine)


- 레이아웃 엔진은
웹 브라우저, 이메일 클라이언트와 같은 웹 콘텐츠를 보여 주거나 편집하는 데 쓰이는 응용 프로그램으로 사용됨

 


ㅇ 레지스트리(Registry)


- 윈도즈 95나 윈도즈 98, 윈도즈 NT와 같은 운영 체계에서 환경 설정 및 각종 시스템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해 둔 장소를 말함

- 컴퓨터 시동 및 각종 물리적 장치에 대한 설정, 사용자 응용과 프로그램 간 연결 등에 관한 정보가 담겨 있는 곳으로서, 다양한 정보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게 해 줌

-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 또는 삭제할 때마다 레지스트리 정보도 함께 수정되며 regedit.exe 파일을 이용해 임의로 레지스트리 내용을 열람하거나 수정․삭제할 수 있음

 


ㅇ 레파지토리(Repository)


- 저장소, 소스 코드가 버전별로 저장되는 장소를 말함

- 전통적 자료 저장소의 전체 집합인 고수준 정보 관리시스템이며 “콘텐츠 서비스”를 구현한 것이며, 예를 들면 작성자 버전관리, 통합 검색, 접근 제한관리, 콘텐츠 카테고리화 등을 가능하게 함

 


ㅇ 레퍼토리(Repertory)


-
음악가나 극단 등이 무대 위에서 공연할 수 있도록 준비한 곡목이나 연극제목의 목록, ‘연주곡목’, ‘노래 곡목’, ‘상연목록’으로 순화

- 들려줄 수 있는 이야기거리나 보여줄 수 있는 장기

- 레퍼토어(repertoire)F〕레퍼토리, 상연목록, 연주곡목 ;【컴퓨터】 레퍼토리《어떤 특정 명령시스템에 쓰이는 문자나 부호의 범위

 


ㅇ 렌더링(Rendering)


- 2차원 화상에 광원, 위치, 색상 등 외부 정보를 고려하여 사실감 넘치는 3차원
디자인 객체를 만드는 컴퓨터 그래픽스 분야에서 필수적인 기술로, 렌더링을 통해디자인 객체를 보다 사실적으로 보여주려면 쉐이드의 표현 작업이 무엇보다 중요함

- 컴퓨터 그래픽(CG)에서 렌더링이란 컴퓨터가 갖고 있는 데이터를 사람의 눈에 보이도록 영상화하는 모든 종류의 작업을 말하며, 컴퓨터 그래픽 렌더링의 초기 기술은 사물을 점이나 선으로 표현하던 기법부터 시작해 컴퓨터 하드웨어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발전함

- 렌더링 방법은 크게 “사실적 렌더링”과 “비사실적 렌더링(NPR)”으로 나눠 볼 수으며, “사실적 렌더링”은 ‘트랜스 포머’나 ‘캐리비안의 해적’ 등의 공상 과학영화에서와 같이 실제 생활과 구분이 되지 않는 영상을 추구하는 방법을 의미하고, ‘열혈강호’ 등 만화나 고흐의 ‘해바라기’ 등의 유화, 동양의 수묵화 등처럼 사람이 직접 손으로 그린 듯한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을 “비사실적 렌더링”이라고 함

※ 관련용어 : 비사실적 렌더링(NPR)

 


ㅇ 렌더링엔진(Rendering Engine)


-
3차원 그래픽스 기능을 모아 놓은 프로그램 및 저작도구를 말하며, 대표적인 렌더링엔진으로는 '에픽게임즈'의 '언리얼엔진' 시리즈가 있는데, 최신 버전 '언리얼엔진 3'은 최신의 컴퓨터 그래픽스 기술을 총동원하여 매우 사실적인 영상을 생성하고 있음

- 우리가 게임을 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컴퓨터 장치 중에 하나가 바로 모니터이며, 모니터는 평면으로 구성된 2차원의 디스플레이 장치인데, 이 장치를 이용하여 3D의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3차원으로 구성된 물체에 대한 기하학적인 정보를 2차원의 스크린 상의 이미지로 변환하여야 함

- 가장 일반적으로 게임제작에서 많이 쓰이고 있는 그래픽툴인 3DS Max나 Maya와 같은 그래픽툴로 제작된 3D 데이터들은 다양한 정보들을 가지고 있는 Object(물체, 객체)에 대한 정점의 좌표와 Texture(구조, 구성) 좌표, Normal(표준, 기준) 및 Diffuse(확산) 값 등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정보들을 화면에 뿌리는 과정을 처리해 주는 역할을 함

- 웹 콘텐츠(HTML, XML, 그림 파일 등)와 포맷 정보(CSS, XML 등)를 가져와서 화면(모니터)에 해당 콘텐츠를 정리하여 보여주는 소프트웨어를 말하며, 이 프로그램은 모니터프린터에 표시할 창의 콘텐츠 영역을 그림

 


ㅇ 로드쇼(Road Show)


- 경제용어로는 일반적으로 해외채권을 발행하거나 해외시장에 주식을 상장하기에
앞서 세계 주요 도시를 방문해 기업에 대한 투자설명회를 개최하는 것임

- 1980년대 이후 로드쇼는 국제적으로 금융자유화가 진전되면서 기업들이 직접 세계 주요 도시들 찾아 다니면서 해외 투자자들을 초청, 기업의 내용과 성장 가능성을 조목조목 알리는 투자 설명회란 경제 용어로 쓰이고 있음

- 보통 로드쇼는 해외에서 채권을 발행하거나 주식예탁증서(DR) 등을 통해 해외 증시에 주식을 상장하기 위한 기업들에 의해 이뤄지며 뉴욕, 도쿄, 파리, 프랑크푸르트 등 주요 금융거점이 주요 무대가 됨

※ 원래 로드 쇼는 연극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지방 여러 도시를 순회하며 갖는 공연을 의미함

 


ㅇ 로마협약


-
실연자, 음반제작자, 방송사업자의 권리인 저작인접권 보호에 관한 협약 중 가장 대표적인 국제협약으로 1961년 10월 로마에서 채택됨

 


ㅇ 로보틱스(Robotics, 로봇공학)


- 로봇(robot)에 관한 과학이자 기술학이며, 로봇의 설계, 제조, 응용 분야를 다룸

- 로봇공학은 전자공학, 역학, 소프트웨어 등 관련 학문의 지식을 필요로 하며, 여러 유관 분야에서 다양한 종류의 지식의 도움을 받고 있음

 


ㅇ 로하스(LOHAS, Lifestyles of Health and Sustainability)


-
건강한 생활을 지속적으로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라이프 스타일을 의미하며, 웰빙(Wellbeing)의 개념보다 포괄적이고 광범위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음

- 미국의 내추럴마케팅연구소가 2000년 처음 발표한 개념인 로하스는 '건강과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는 라이프스타일‘의 약자로, 개인의 건강과 다음 세대의 건강과 환경을 고려한다는 친환경적이고 합리적인 소비형태를 말함

 


ㅇ 롱테일(The Long Tail) 법칙(현상)


-
전통적인 시장에서는 잘 팔리는 상위 20%가 전체 매출을 좌우하지만(파레토 법칙), 웹2.0 시대에서는 나머지 80%의 중요성이 커진다는 법칙을 뜻함

- 인터넷의 발달로 물류비용이 저렴해지자 소비자가 하위 상품에 쉽게 접근하게 되어 이들이 틈새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를 경제적으로 잘 활용한 사례로는 아마존의 다양한 서적 판매 사례 등이 있음

- 파레토 법칙에 의한 80:20의 집중 현상을 나타내는 그래프에서는 발생확률 혹은 발생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부분이 무시되는 경향이 있었으나, 인터넷과 새로운 물류기술의 발달로 인해 이 부분도 경제적으로 의미가 있을 수 있게 되었는데, 이를 “롱테일(the long tail)”이라고 함

- “롱테일”이란 말은 기하급수적으로 줄어들며 양의 X축으로 길게 뻗어나가는 그래프의 모습에서 나온 말이며, 2004년 와이어드지에 크리스 앤더슨(Chris Anderson)에 의해 처음으로 소개 되었으며 이후 책으로 나와 베스트 셀러가 되었음

 


ㅇ 리뎀션(Redemption)게임기


-
경품용게임기(AWP), 경품지급게임기로 전 세계 아케이드 게임장에서 이용되고 있음

- 게임의 결과에 의해 티켓이 배출되고, 배출된 티켓으로 인형 등의 경품으로 교환할 수 있음

※ 관련용어 : AWP(Amusement With Prizes, Amuse With Prize)

 


ㅇ 리마쇼(LIMA Show)


- 세계 최대의 국제라이선싱협회인 미국의 리마(LIMA, Licensing Industry Mer
chandise Association)가 후원하는 세계 최대의 라이선싱쇼(licensing show, 일명 리마쇼)를 말하며, 라이선싱 업계의 오스카상이라 불리우고 있음

- 지난 6월 10일부터 12일까지 미국 뉴욕 제이콥 자비치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국제적인 판권시장인 “제28회 라이선싱 2008(리마쇼)”은 캐릭터를 비롯 공예와 디자인, 애니메이션 등 문화 콘텐츠분야의 판권사업을 총괄적으로 보여주는 국제전시회로서, 전세계의 다양한 콘텐츠가 바이어와 만나는 곳으로 유명함

- 리마쇼는 라이선싱시장의 전반적인 흐름을 알 수 있는 장으로 각광을 받으며 세계 각국의 프로퍼티(property)를 중심으로 라이선서(licensor), 라이선시(licensee), 에이전시 등이 모여 세계 라이선싱시장을 선도하는 프로퍼티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최대의 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

 


ㅇ 리얼리티게임(Reality Game)


- 얼터너티브 리얼리티게임(Alternative Reality Game, ARG)이라고도 함

- 가상세계 속에 완벽하게 구현된 현실공간에서 현장감을 살려 게임에 몰입하게 하는 것이 특징임

- 유명 선수들의 캐릭터들이 게임상에 나와 게이머들은 실제로 이들과 게임을 하는 것 같은 생동감을 느낄 수 있으며, 대표적인 사례로는 스포츠게임인 CJ인터넷의 ‘마구마구’는 게임 속에 실제 야구장을 옮겨 놓아서 게이머가 마치 야구장 한 가운데에 있는 것처럼 느낄 수 있음

- 대표적인 리얼리티게임으로는 네오위즈게임즈의 야구게임 ‘슬러거’, 코나미의 축구게임 ‘위닝일레븐X', 일레트로닉아츠(EA)의 골프게임 ’타이거우즈 PGA투어 07‘, 네오위즈게임즈의 레이싱게임 ’레이시티‘, 엠게임의 MMORPG ’이터널시티‘, FPS게임 ’콘도타‘ 등이 있음

 


ㅇ 리에종(Liaison, 연락자) 서비스(학과 연계 서비스)


- 대학도서관 사서(주제전문사서)들이 기관 소속 교수 및 대학원생들이 요구하는
정보의 형태와 내용을 파악해 연구와 강의, 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서비스를 말함

 


리커트(리케르트)척도(Likert Scale)


- Rensis Likert에 의해 개발된 리커트척도는 태도나 가치를 측정하는데 널리 쓰이는 척도 중의 하나로, 설문조사의 응답으로 여러 단계 중에서 동의하는 수준에 해당하는 단계를 표시하며, 주로 5점 척도〔5점 ‘매우 그렇다’부터 1점 ‘전혀 그렇지 않다’의 5점 리커트 척도(5-point likert-type scale)〕가 많이 사용됨

- 리커트척도는 매스 커뮤니케이션 조사연구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는 방식으로, 5점, 6점 혹은 7점 척도로 이루어진 구성체에 관한 긍정과 부정의 의견을 담은 일련의 진술문들로 구성됨

- 응답자들이 각 진술문에 대해 매우 찬성, 찬성, 중립, 반대, 매우 반대와 같은 5점으로 이루어진 선택틀 중에서 하나의 답을 고르거나, 각 진술문들에 대해 ‘반드시 참이다’에서 ‘확실히 거짓이다’까지 이어지는 선택에서 하나의 답을 고르게 되어있는 강제 선택형 척도임

- 주어진 진술문에 대해 조사 참여자들이 응답한 동의나 반대의 정도는, 그에 따른 점수들로 환산되며 점수의 총합이 대상에 대한 개인의 태도로 해석되며, 그래서 리커트척도를 합산평가방식(summated rating approach)이라고도 함

 


ㅇ 마스터클래스(Master Class)


- 명인, 대가, 거장을 뜻하는 ‘마스터(master)’와 수업을 뜻하는 ‘클래스(class)’가
합쳐진 말로서, 어떤 분야에서 기예, 기법, 기술 등이 뛰어나 명인, 대가, 거장이 직접 하는 강의나 강연, 수업을 가리킨다는 점과 고도의 전문 기술이나 기법을 가르치는 특별히 개설한 수업을 의미하는 용어로 ‘명인강좌’라고 할수 있음

- ‘마스터클래스’는 본래 고전음악 분야에서 유명한 연주가가 몇몇 사람에게 직접 연주 기술이나 기법을 직접 가르치는 수업을 가리키는 말로 쓰였으며, 그래서 많은 사람들에게 ‘마스터클래스’는 ‘특별 수업’의 의미로 받아들여지고 있음

- 한편 연극, 영화, 애니메이션 등 고도의 전문 기술이나 기법이 필요한 분야에서도 ‘마스터클래스’ 과정을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그 결과 몇몇 사람들은 ‘수준 높은 수업’이나 ‘고급 수업’을 가리키는 말로 ‘마스터클래스’를 쓰고 있고, 요즘에는 ‘마스터클래스’ 과정을 일반인도 참여할 수 있도록 그 문호를 개방하고 있어 ‘공개 수업’의 의미로도 널리 쓰이고 있음

 


ㅇ 마켓프리미어


- 영화마켓(영화견본시)에서의 최초 영화 상영을 의미함

 


ㅇ 마크업언어(Markup 言語, Markup Language)


-
태그(tag)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구조를 명기하는 언어의 한 가지로 페이지기술언어라고도 부름

마크업이라는 표현은 출판가들이 원고에 교정기호를 써넣는 것을 mark up이라 부른 것에서 나온 말이라고 함

※ 관련용어 : 태그(Tag)

 


ㅇ 말뭉치
(Corpus)


- 언어를 연구하는 각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연구재료로서 언어의 본질적인 모습을 총체적으로 드러내 보여줄 수 있는 자료의 집합을 뜻함

- 국내에서는 1988년부터 구축되어 온 연세대학교의 연세 한국어 말뭉치를 비롯하여 한국과학기술원, 고려대학교, 국립국어연구원 등에서 본격적으로 말뭉치를 구축해 오고 있으며, 1998년부터 국어정보화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1차 세종계획의 일환으로 우리나라에서도 본격적으로 국가 말뭉치가 구축되기 시작함

※ Corpus : 'Corpora'의 복수형으로서 (자료 등의)전부, 총체, (언어)언어 자료, 전자 코퍼스(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텍스트, 예문 등의 집합체)

 


ㅇ 매트릭스조직(Matrix Organization)


- 종축(列)과 횡축(行)의 두 지휘 명령 계통을 설치하고, 이원적 관리에 의해 활동하는 조직을 이름

- 행렬식(行列式) 조직이라고도 하며, 재래형 조직은 모두 상하관계의 시점(視點)에 의해 구조화되어 있기 때문에 집권적(集權的)․분권적인 것, 직능별․제품별 ․지역별인 것 등 모든 조직이 동일함

- 매트릭스조직은 재래형의 열형태조직에 대한 혁신으로 나타났으며, 이 조직은 대부분 직능별(제조, 판매, 재무, 노동 등)을 종축으로 하는 재래형에 제품별 횡축을 첨가하는 형태로 출발함

- 안정된 매트릭스조직에서는 양축의 내용을 업태에 상응하여 자유롭게 설정해도 되며, 이를테면, 다국적기업에서는 지역별․제품별로, 서비스산업에서는 지역별 ․활동구분별 등으로 양축의 내용을 설정하는 예가 많음

- 이와 같은 매트릭스조직은 환경의 다양화에 대응하기 위한 필요에 따라 생겼으나, 이원적 관리에 따른 조직질서의 혼란이 최대의 문제로 지적됨

 


ㅇ 머드(MUD, Multi User Dungeon)


- 여러 명이 게임에 참여하는 온라인게임의 일종으로, 머드의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은 텍스트 기반이라는 것임

- 널리 알려진 머드엔진으로는 서클머드, 디쿠머드, Merc, SMAUG 등이 존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80년대 및 90년대 초중반 이러한 영문 머드를 그대로 운영하거나 혹은 일부 한글화 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후 90년대 초중반을 기점으로 하여 ‘단군의 땅’, ‘쥬라기공원’ 등의 상용 머드가 하이텔, 천리안, 나우누리 등을 통하여 서비스되기 시작함

- 그 외에도 널리 알려진 공개 한글 머드엔진으로는 금오공과대학교의 동아리인 컴퓨터 연구회 KSB에서 개발한 무한대전이 존재하며, 이후 그래픽 기반의 머그로 발전하게 되었으며, 2007년 현재 국내에는 상용 머드는 존재하지 않고 있으나 여러 곳에서 무료로 서비스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MSN 메신저에서도 서비스되었던 적이 있음

 


ㅇ 멀티앵글(M
ulti Angle)


- 수 대의 카메라로 동시에 촬영된 영상을 재생할 때 원격 조정으로 좋아하는 카메라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기능으로, 생음악 연주회에서 무대 전체를 볼 수도 있고 특정한 영상만을 볼 수도 있으며, 축구경기에서는 인기 선수만을 추적, 신상기록을 확인할 수 있으고, 스타디움 중앙에서 일어나는 상황 등을 선택해서 즐길 수 있음

- IPTV에서 드라마를 보다가 마음에 드는 물건을 사거나 야구중계를 관중석 외에도 외야수․포수․타자 자리 등 여러 관점(멀티앵글)에서 보거나, 시청자가 보고 싶어 하는 영상과 가장 가까운 각도에서 화면을 잡고 있는 카메라를 시청자가 직접 선택해서 볼 수 있는 서비스 기능을 말함

 


ㅇ 메가브랜드(Mega Brand)


- 단일시장 내에서 독점적 인지도를 구가하면서 라인을 확장한 제품들에 사용되거나 혹은 차별적이고 명확한 아이덴티티를 가지는 다수의 개별 브랜드들을 보증하는 형태로 사용되는 패밀리 브랜드나 기업 브랜드라고 정의할 수 있음

 


ㅇ 메타데이터(Metadata)


-
데이터(data)를 위한 데이터이며, 어떤 데이터 즉 구조화된 정보를 분석․분류하고 부가적 정보를 추가하기 위해 그 데이터 뒤에 함께 따라가는 정보를 말함

- 이를테면,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사진을 찍어 기록할 때마다 카메라 자체의 정보와촬영 당시의 시간, 노출, 플래쉬 사용 여부, 해상도, 사진 크기 등의 사진 정보를 화상 데이터와 같이 저장하게 되어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용하면 그 뒤에 사진을 적절하게 정리하거나 다시 가공할 때에 아주 유용하게 쓸 수 있는 정보가 됨

- 최근에는 GPS 기능을 사용하여 위치 정보까지 사진의 메타데이터에 입력할 수 있게 되었는데, 이를 이용하면 사진이 어디에서 촬영되었는지를 쉽게 알 수 있고, 이로써 다시 다른 지역 정보를 검색하거나 같은 지역에서 찍은 다른 사진을 검색하게 하는 검색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

- 하지만 보통 메타데이터 그 자체만으로 제품의 기능을 향상시켜 주지는 않으며, 메타데이터는 메타데이터가 부여되고 쓰일 때의 맥락적인 정보를 구조화시켜 그 활용도의 가능성을 확대시키는 역할을 함

- 특히, 최근에 부각되고 있는 웹2.0이나 온톨로지(ontology)의 분야에서 구조화된 메타데이터는 매우 중요함

※ 관련용어 : 웹2.0, 온톨로지(Ontology)

 


ㅇ 메타버스(Metaverse)


- 현실의 세계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와 ‘가공, 추상'을 의미하는 '메타(Meta)'의 합성어로 3차원 가상세계를 뜻함

- 미국 IT 벤처기업인 린든 랩이 만든 세컨드라이프(second life)의 인기가 증가하면서 메타버스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음

※ 관련용어 : 세컨드라이프(Second Life, SL)

 


ㅇ 모바일게임(Mobile Game)


-
모바일게임은 두 종류로 구분할 수 있으며, 하나는 휴대전화에서 실행되는 게임이그것이며, 다른 하나는 휴대용 게임기라는 별도의 플랫폼을 통해 실행되는 게임을 말함

- 그러나 휴대용 게임기로 실행하는 게임들이 최근 핸드헬드 게임으로 구분되면서, 모바일게임은 휴대전화로 즐길 수 있는 게임을 두루 이르는 말이 됨

- 우리나라에서는 각각 이동통신사 별로 서로 다른 환경에서 만들어지고 있으며, SKT(gnex, skvm), KTF(brew), LGT(midp) 등이 그것이며, 현재는 WIPI라는 통합 플랫폼으로 변환하고 있음

- 2001년부터 발아한 모바일 산업은 2005년 2500억 정도의 시장 규모로, 주로 10대 등의 젊은층이 주된 사용자이며, 주요사업자로는 게임빌, 컴투스, 넥슨 모바일 등이 있음

 


ㅇ 모바일북(Mobile Book)


- 휴대전화를 이용한 모바일북은 아직은 콘텐츠가 만화와 전자책을 포함해도 2만종을 넘지 않는 등 절대적으로 부족하고 무선데이터 정보 이용요금이 상대적으로 비싸다는 점이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어 아직 시장 규모는 작음

- 모바일북 시장 규모는 2004년만 해도 12억원 규모에 그쳤으나, 2005년에 53억원, 2006년에는 208억원으로 급증했고, 2007년에는 265억원 규모를 형성하는 등 지난 3년 사이 20배 이상 성장하여 시장 규모는 작지만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출판 시장의 지형도가 바뀌고 있음

 


ㅇ 모바일컨버전스(Mobile Convergence)


-
휴대기기(휴대폰, PDA, DMB Player 등)에 여러 가지 기능과 서비스, 미디어 등이 융합되어 방송, 인터넷 등의 모바일화를 실현하고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구현하는 것을 의미함

- 이와 같은 모바일컨버전스를 실현하기 위한 주도 분야는 방송의 모바일화를 실현하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2.3GHz의 무선 초고속 인터넷인 휴대인터넷(Wireless Broadband),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핵심기술로 분류되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이 대표적인 기술로 발전하고 있음

- 또한 기반환경으로 All-in-One Device가 필요하며 위 세 가지 기술은 IT839 정책의 8대 신규서비스에도 포함됨

 


ㅇ 모바일OK


- 웹사이트 또는 웹 응용에 대하여 유․무선 단말의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국제 웹 표준 기술의 총칭을 말함

- 유선인터넷과 무선인터넷을 오가며 사용자들이 손쉽게 웹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표준으로, 국가 모바일 표준화(모바일 브라우징의 표준화) 프로젝트의 하나로 2007년 11월에 개발됨

- 모바일OK 표준화(모바일웹 표준화)는 모바일 브라우징 환경에 대한 표준화로, 휴대폰을 비롯한 다양한 이동 단말에서 기존 인터넷과 포털 등에서 제공되는 각종 콘텐츠와 서비스를 비롯한 다양한 웹콘텐츠를 자유롭고 불편함이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크업언어, 단말 정보규격, 응용환경 등을 표준화하는 작업임

- 모바일OK 표준의 실증을 거치면 앞으로 PC에서만 이용 가능했던 지도서비스나, 블로그, 웹2.0 응용 등도 휴대폰에서도 손쉽게 이용할 수 있게됨

- 모바일OK 개발에는 문화체육관광부와 모바일웹2.0 포럼, ETRI, KIPA(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SK텔레콤, LG텔레콤, KTF, 삼성전자, LG전자, NHN, 다음 등 정부와 기관, 통신․단말․포털업체 등이 대거 참여함

※ 관련용어 : 마크업언어(Markup Language)

 


ㅇ 모바일2.0 또는 모바일 웹2.0


- 모바일2.0은 온라인 시장에서 웹2.0이 새로운 트랜드로 부각되는 현상이 되자 모바일에도 이 사상을 연계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등장한 개념으로, 유무선 인터넷의 연동을 보장한다는 점이 핵심임

- 즉, 참여와 공유를 표방하는 웹2.0이 모바일웹과 결합된 형태가 웹2.0의 모바일 버전이라고 간단히 정의할 수 있으나, 모바일2.0은 즉시성과 이동성이 높다는 면에서 웹2.0의 개념과 차별화됨

- 모바일 웹2.0과 모바일2.0이 혼용해서 쓰이나 전반적으로 모바일2.0으로 수렴되고 있는 상황이며, 기존의 모바일웹은 웹2.0의 특징으로 거론되는 플랫폼으로서의 웹을 기반으로 해, 기술적인 측면에서 다양한 웹서비스 응용, 시맨틱웹(SemanticWeb) 응용 등과 같은 차세대 웹 기술과 특징들을 수용하면서 모바일2.0으로 진화함

- 모바일2.0은 웹2.0과 모바일웹의 결합을 통해, 모바일 기기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의 특징을 가지게 되며, 모바일 기기를 휴대하고만 있으며 웹 2.0에서 표방하고 있는 참여, 개방 및 공유의 패러다임이 언제 어디서나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 기존의 모바일웹은 저속 네트워크에 이동통신사의 폐쇄적인 사업과 기술모델, 휴대전화를 통한 인터넷 접속과 단순 하이퍼링크 및 종량제 요금 등으로 확산이 정체되어 있는 상황인 반면에, 모바일2.0은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나 와이브로(Wibro)와 같은 고속 네트워크에 개방형 사업모델과 다양한 모바일 단말기, 정액제 기반 요금제 등을 지원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모바일웹과 큰 차이가 있음

- 모바일2.0은 유무선 인터넷의 완전한 통합이 전제되며 이를 통해 모바일 광고기반의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할 수 있으며, 근본적으로 모바일2.0은 기존 모바일 비즈니스의 주권이 콘텐츠와 서비스사업자, 네트워크 사업자, 단말제조업체에서 사용자 중심으로 옮겨온다는 점에서 서비스 패러다임의 변화를 몰고 올 것으로 관측됨

※ 시맨틱웹(Semantic Web) : 현재의 인터넷과 같은 분산환경에서 리소스(웹문서,각종 화일, 서비스 등)에 대한 정보와 자원 사이의 관계-의미정보(Semanteme)를기계(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온톨로지 형태로 표현하고, 이를 자동화된 기계(컴퓨터)가 처리하도록 하는 프레임워크이자 기술을 말하며, 웹의 창시자인 ‘팀 버너스 리’가 1998년 제안했고 현재 W3C(세계웹기술표준화회의)에 의해 표준화 작업이 진행중임

 


ㅇ 모비소드(Mobisode)


- 모비소드는 모바일(Mobile)과 에피소드(Episode)의 합성어로, 휴대전화용 TV드라마를 말하며,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나 영화를 휴대전화나 다른 휴대용 가전(디지털제품)에 맞도록 용량과 길이를 줄인 것을 의미함

- 흔히 IMT-2000, WCDMA라고 하는 3세대 이동통신(3G)의 보급으로 인해 휴대전화의 액정화면은 동영상 콘텐츠의 새로운 출구가 되었으며, 그러면서 이른바 ‘모비소드’라는 영상 콘텐츠의 새로운 장르가 생겨나 이제는 보편적인 단어로 통용되고 있음

※ 관련용어 : 웨비소드(Webisode)

 


ㅇ 모태펀드(Fund of Funds)


-
개별기업에 직접 투자하지 않고 자 펀드에 출자하는 펀드로서, 투자목적 달성을 위해 보다 장기적․탄력적 운영이 가능하고, 별도로 지정하는 투자 관리기관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평가 등의 사후 투자관리가 효율적이라는 장점이 있음

- 기업에 직접 투자하기 보다는 개별펀드(투자조합)에 출자하여 직접적인 투자위험을 감소시키면서 수익을 목적으로 운영하는 펀드로서, 전체 출자자금을 하나의펀드(母펀드)로 결성하고, 母펀드를 통해 펀드운용사가 결성하는 투자조합(子펀드)에 출자하는 펀드이며, 분산투자(diversification)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음

- 과거 투자성과(track record)가 우수한 GP(General Partner, 업무집행조합원)가 운용하는 대형펀드에 소액의 자금으로도 투자가 가능함

- 모태펀드에 투자하는 개별 투자자는 그들이 수행하기 어려운 GP에 대한 정밀실사(due diligence) 또는 포트폴리오 구성, 모니터링 등에 대해 모태펀드의 전문성을 활용할 수 있으며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음

 

  ㅇ 몰링(Malling)

- 주5일제가 정착되면서 문화와 여가생활을 한 공간에서 모두 즐길 수 있는 몰링문화가 새로운 소비 트렌드로 부상하고 있음

- 몰링이란 연인이나 가족들이 쇼핑과 외식, 공연, 영화관람, 몰워킹, 게임 등 종합엔터테인먼트를 복합 쇼핑몰에서 즐기는 행위(Malling族)를 말하며, 일상생활의대부분을 한 곳에서 해결할 수 있는 원스톱 쇼핑(One Stop Shopping)으로 소비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는게 몰링이 뜨고 있는 가장 큰 이유라고 볼 수 있으며, 미국과 유럽에서는 이미 생활의 일부로 받아들여지고 있음

- 미국의 몰 오브 아메리카(Mall of America), 일본의 커낼시티(Canal city), 홍콩의하버시티(Harbour City) 등이 몰링족을 위한 대표적 쇼핑 공간인 엔터테인먼트형 복합 쇼핑몰임

- 국내에서도 몰은 가족들의 나들이 코스로, 연인들의 데이트 코스로, 친구들과 함께 즐기는 여가의 장으로 주목 받고 있으며, 현재 성업 중인 코엑스몰, 현대아이파크몰, 센트럴시티, 라페스타 외에도 3∼4년 안으로 오픈 예정인 복합 쇼핑몰만 하더라도 10여개에 달함

※ Mall : 쇼핑몰(충분한 주차장을 갖춘 보행자 전용 상점가), 쇼핑센터

 


ㅇ 무비컬(Movical, Movie + Musical)


-
무비컬이란 ‘무비(Movie)’와 ‘뮤지컬(Musical)’을 합친 신조어로 ‘영화를 원작으로 한 뮤지컬’을 뜻하며, 2008년 우리나라 창작 뮤지컬의 대세는 단연 무비컬임

- 작년 ‘싱글즈’와 ‘공길전’의 흥행을 발판삼아, 2008년부터 무비컬 제작은 더욱 대세를 이루고 있으며, 올 초 예술의 전당에서 초연된 ‘라디오스타’가 작품성과 흥행면에서 큰 인기를 끌지 못해 아쉬움을 남겼지만, ‘소리도둑’의 선전과 앞으로 남은 많은 기대작들이 ‘무비컬’ 흥행가도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됨

- 사실 무비컬은 한국에서 시작된 흐름은 아니며, 뮤지컬의 대명사라고도 할 수 있는 미국 브로드웨이에서는 이미 2000년부터 이런 단어가 사용되었고, 애니메이션인 ‘라이온 킹’, ‘미녀와 야수‘ 등 수 많은 영화들이 뮤지컬 무대에 올려져 경쟁력 있는 장르임을 보여주고 있음

 


ㅇ 무역에 관한 기술적 장벽(Technical Barriers to Trade, TBT)


- 무역 상대국간에 서로 상이한 표준, 기술규정, 인증절차, 검사절차 등을 채택․
적용함으로써 상품 및 서비스의 자유로운 이동을 저해하는 무역에 있어서의 제반 장애요소를 말함

 


ㅇ 문자인코딩(Character Encoding)


-
문자들의 집합을 컴퓨터에서 저장하거나 통신에 사용할 목적으로 부호화하는 방법을 가리키며, 그냥 인코딩이라고도 불림

- 대표적인 예로 전을 길게, 또는 짧게 두드려서 라틴 알파벳을 나타내는 모스 부호가 있으며, 라틴 알파벳, 숫자, 특수문자 등을 정수와 그에 대응되는 7비트 이진수로 표현하는 방법인 ASCII가 있음

- 컴퓨팅 초기에는 ASCII(1963년), EBCDIC(1964년)과 같은 문자열 세트가 표준으로 자리잡힘

- 이러한 문자열 세트의 제한은 명백했으며 수많은 ad-hoc 방식이 개발되었으며,한중일 계열의 동아시아 스크립트를 포함하여 다중 문자(언어) 지원이 시급했음

 


ㅇ 문자인코딩의 구성


- 문자집합(character set, charset) 또는 문자셋은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글자들의
집합을 정의한 것으로, 직접적으로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고 한 문자 집합을 여러 문자 인코딩에서 쓸 수도 있으며, 특히 집합 안의 문자들에 음수가 아닌 정수들을 배정한 것을 부호화된 문자 집합(Coded Character Set, CCS)이라 함

- 문자집합은 ASCII와 같이 더 이상의 문자가 추가될 수 없기도 하고, 유니코드와 같이 문자가 계속 추가될 수 있기도 하며, 일반적으로 문자집합과 문자 인코딩은 어떤 문자를 사용할 수 있으며 어떤 식으로 표현되는 지를 나타낸다는 데서 동의어로 취급되기도 하며, 역사적인 이유로 MIME이나 그에 기반한 시스템은 문자집합(charset)을 문자 인코딩을 나타내는 데 사용함

- 문자 인코딩 형태(character encoding form, CEF)는 특정한 문자 집합 안의 문자들을 컴퓨터 시스템에서 사용할 목적으로 일정한 범위 안의 정수(코드값)들로 변환하는 방법이며, 여기에는 유니코드 포인트를 8비트 숫자의 집합으로 나타내는UTF-8이나, 16비트 숫자의 집합으로 나타내는 UTF-16, 그리고 대부분의 일반적인 문자 인코딩들이 포함됨

- 문자 인코딩 구조(Character Encoding Scheme, CES)는 문자 인코딩 형태로 변환된 코드값을 옥텟 기반의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옥텟들로 변환하는 방법이며, 대부분의 문자 인코딩 형태는 이 과정에서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으며, 8비트 이상의 숫자를 사용하는 UTF-16과 같은 문자 인코딩 형태의 경우 엔디안을 지정해 주는 것으로 충분함

 


ㅇ 문화가이드북


-
한국과 한국문화 소개, 볼거리․먹거리․살거리․놀거리 정보, 나라별 문화적 특징 소개 등 외국인 노동자에게 유용한 생활정보를 수록한 안내 책자를 이름

- ‘07년에 영어, 한국어, 베트남어, 몽골어, 중국어, 태국어, 방글라데시어, 스리랑카어, 필리핀어, 캄보디아어, 파키스탄어 등 11개 언어로 제작․배포함

 


ㅇ 문화다양성협약


-
UNESCO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the Diversity of Cultural Expressions

- 정식 명칭은 '문화콘텐츠와 예술적 표현의 다양성 보호를 위한 협약'이며, 1995년 세계무역기구(WTO) 출범 이후 다자간투자협정(MAI)이 문화와 같은 비무역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인식에서 논의되기 시작함

- 이후 세계문화부장관회의(INCP)와 문화다양성연대(CCD), 문화다양성국제연대(INCD) 같은 국제비정부기구(NGO)가 차례로 결성되었으며, 2001년 11월에는 프랑스 파리에서 '세계 문화다양성 선언'이 채택되고, 2002년에는 5월 21일을 '세계 문화다양성의 날'로 선포함

- 그 뒤 여러 차례의 전문가회의와 정부간 회의를 통해 2005년 6월 3일 최종적으로협약 초안이 마련되었으며, 최종안은 2005년 10월 20일 유네스코 제33차 총회에서 안건으로 올려진 뒤 148대2(미국과 이스라엘 반대)로 문화다양성협약을 압도적으로 채택하였으며, 30개국 이상이 비준을 거쳐 효력을 발휘함

- 문화다양성협약은 다자간 무역협정(WTO) 출범 이후 위협받고 있는 각국의 문화 정체성과 다양성을 지키기 위해 2003년에 유네스코가 제안한 것으로 각국 정부가 문화 정책을 수립하고 이를 보호할 수 있으며 자유무역 대상에서 이를 제외할 수 있다는 내용임

- 문화다양성협약은 2006년 3월에 30개국이 비준하면서 발효되었고, 2008년 12월 현재까지 93개국이 비준을 마쳤으며(유네스코 회원국 총 193개국 중 유럽 36개국, 아프리카 27개국, 중남미 13개국, 아시아․오세아니아 10개국, 중동 4개국, 북미 3개국), 우리나라는 국회에서 비준을 하지 않은 상태임

- 비준을 마친 국가들은 대륙별로 16개국 정부간위원회를 구성하였으며, 아시아에서는 중국과 인도가 참여하고 있음

 


ㅇ 문화동반자사업


- 문화협력을 통한 국가간 공존관계 구축을 위해 아시아, 남미, 아프리카 지역의 유망 문화예술인 초청․연수 실시사업을 말함

 


ㅇ 문화바우처제도


-
문화 인프라가 취약한 농어촌지역 주민과 저소득층에게 문화예술프로그램을 무료로 관람할 기회를 주는 것으로, 1인에 5만원 이하의 무료관람권을 지급하며, 대상자들은 뮤지컬, 무용, 연극, 대중음악, 미술, 영화 등을 선택하여 관람할 수 있음

- 한국문화복지협의회, 한국메세나협의회,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대구곰두리봉사회, 전북지체장애인협회 등 5개 단체가 공모를 통해 주관사업자로 선정되었으며, 주관사업자는 공연기관 등의 문화프로그램 발굴과 제공, 지원대상자 선정, 문화바우처 제공 등을 하게 됨

- 문화관광부는 '문화바우처' 제도를 확대해 2009년부터는 기존의 공연․전시회 무료관람권 제공은 물론 도서, 음악․미술도구 구입 등으로 바우처 이용 프로그램을 다양화하기로 함

바우처(Voucher) 혹은 이용권은 정부가 지불을 보증하는 일종의 전표로서 일정한 계층에게 특정한 재화나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도록 구매력을 높여주는 소득보전의 한 형태

 


ㅇ 문화산업단지


- 기업, 대학, 연구소, 개인 등이 공동으로 문화산업과 관련한 연구개발, 기술훈련, 정보교류, 공동제작 등을 할 수 있도록 조성한 토지․건물․시설의 집합체로 문화산업진흥기본법 제24조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지정․개발된 산업단지를 말함

 


ㅇ 문화산업진흥지구


-
문화산업 관련 기업 및 대학, 연구소 등의 밀집도가 다른 지역보다 높은 지역으로집적화를 통한 문화산업 관련 기업 및 대학, 연구소 등의 영업활동연구개발인력양성․공동제작 등을 장려하고 이를 촉진하기 위하여 문화산업진흥기본법 제28조의2의 규정에 따라 지정된 지역을 말함

 


ㅇ 문화적 할인(Cultural Discount)


-
(사례)영어를 사용하는 미국의 미디어기업은 세계 시장에서 손쉽게 경쟁력을 갖고 투자 이상의 효과를 거둘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한 나라의 미디어기업은 문화적 제약 때문에 성공하기가 대단히 어렵다는 논리를 이름

※ 관련용어 : 코리아 디스카운트(Korea Discount)

 


ㅇ 문화접대비제도


- 기업이 접대비의 3%이상을 문화비로 지출할 경우 그 초과분에 대해 접대비 한도액의 10%까지 추가로 손금산입이 가능하도록 한 것임

- “문화예술로 접대하면 세제 효과는 물룬 기업 이미지를 높일 수 있으며, 문화예술계를 후원하는 메세나와 사회 공헌을 실천할 수 있음(유인촌 문화체육부장관)”

기획재정부는 2009년부터 기업의 접대비 한도를 1회 50만원에서 100만원으로 상향 조정할 것을 심도있게 검토하고 있으며, '접대비'라는 명칭도 ‘대외업무활동비’ 등 다른 용어로 바꾸는 방안도 함께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힘

 


ㅇ 문화콘텐츠 제작자 완성보증제도


-
문화콘텐츠기업에 한정해 문화콘텐츠 제작자가 콘텐츠를 완성할 때까지 정부에서 관리와 감독을 해주고 대출을 도와주는 금융지원 제도임

- 기술보증기금을 활용해 시범 실시되며 문화콘텐츠 제작자의 완성 리스크 감소에 따라 우수 문화프로젝트 제작이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됨

※ 관련용어 : 완성보증보험제도

 


ㅇ 문화PD(참여형문화조직자, Culture
Organizer)


-
기획, 촬영, 편집 등 제작을 담당할 “PD"와 현장의 취재, 디렉팅, 콘텐츠의 구성, 작가, 리포터 역할 등을 종합적으로 담당할 ”자키“ 2인 1조로 구성되어 전국 시․군․구 지역에서 활동하며, 다양한 문화정보를 찾아 표준화, 일원화, 참여형화 하여 새로운 문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산하는 문화정보전달자를 말함

 


ㅇ 물리기술(피직스기술)


-
물리기술은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의 물리 가속 분야에서 가장 널리 확산되고 있는 기술이며, 물리엔진과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미들웨어로 구성되어 있는 개발 솔루션임

- 물리기술을 사용할 경우 실시간으로 물리효과에 대한 프리뷰가 가능해 개발자들과 애니메이터들에게 전례 없던 창의성있는 작업이 가능하게 됨

- 게임 물리기술은 컴퓨터 그랙픽스의 한 분야로서 오랫동안 연구되어 왔던 물리기반모델링(physically-based modeling) 분야의 다양한 연구성과를 게임에 적용한 것임

- 게임물리는 실제와 유사한 게임 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필수적인 게임요소 기술로서 그동안 연산의 복잡도에 따른 실시간성의 제약에 의해 게임에 부분적인 활용이 이루어져 왔으나 하드웨어의 성능 향상과 더불어 그 중요성이 날로 더욱 높아지고 있음

※ 관련용어 : 물리엔진(Physics Engine)

 


ㅇ 물리엔진(Physics Engine)


- 가상공간의 물체 및 환경이 실세계의 물리법칙에 따라 움직이고 변화하도록 처리해주는 프로그램을 말하며, 실제 세계의 물리작용을 컴퓨터로 모사하여 보다 사실적인 게임 환경을 제공해줌

- 컴퓨터 물리엔진의 필수 요소 중 하나는 뉴튼의 운동법칙으로 대표되는 고전 역학을 구현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복잡한 미분방정식을 풀어야 하고 다양한 수치해석 기법을 사용함

- 게임엔진 초기에는 충돌을 감지하고 반응하는 것이 엔진이 제공하는 물리기능의 대부분이었으나, 그러다 현실과 가까운 물리엔진이 대두된 것은 소스엔진에 탑재된 하복(Havok) 물리엔진의 물리 시뮬레이션 기능을 활용한 일인칭 슈팅게임 ‘하프라이프 2’가 공개되고 나서였으며, 물리엔진이 지원하는 기능은 크게 차량, 강체(剛體, 물리학에서 형태가 고정되어 변하지 않는 물체), 액체, 랙돌(ragdoll), 직물과 연체효과 등임

※ 관련용어 : 물리기술(Physics 기술)

 


ㅇ 뮤제오그라피(Museography)


- 뮤제오그라피란 건물, 내부 전시실, 작품이 함께 조화를 이루는 것으로 미술관 전체가 하나의 ‘작품’이 되도록 설계하는 것을 말함

 


ㅇ 미국공연기획자협회(APAP, Association of Performing Arts Presenters) 연례회의


- 매년 1월 뉴욕에서 열리는 APAP 연례회의는 북미 최대 규모의 공연예술시장 역할을 하며 해외의 공연예술단체들은 이 행사를 북미지역 진출을 위한 중요한 거점으로 활용하고 있음

- APAP 연례회의에 전 세계 4천여 명의 공연예술 전문가들이 대거 참가해 학술행사와 부스전시를 통한 작품 홍보, 쇼케이스 공연 등을 함

 


ㅇ 미들웨어(Middleware)


- 게임 개발사가 게임을 만드는 데 필요한 구성 요소들을 제공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묶음을 말하며, 대부분의 미들웨어 소프트웨어는 그래픽, 사운드, 물리, AR(Artificial
Reality, 인공현실) 등 특정 기능의 개발을 쉽게 해줌

- 컴퓨터 제작회사가 사용자의 특정한 요구대로 만들어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을 담당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말함

- 여러 운영체제(유닉스, 윈도, OS 등)에서 응용 프로그램들 사이에 위치한 소프트웨어를 말하며, 이들 소프트웨어는 유연하고 확장․축소가 편리하여야 하며 이러한 장점을 만족하기에 개발자가 다른 기종간 플랫폼을 재구축할 필요가 없음

- 응용 프로그램들 양 쪽을 연결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중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소프트웨어이며, 네트워크를 통해서 연결된 여러 개의 컴퓨터에 있는많은 프로세스들에게 어떤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연결해 주는 소프트웨어를 말함

 


ㅇ 미디어렙(Media Representative)


-
미디어렙은 매체를 뜻하는 `Media'와 대표자를 의미하는 `Representative'의 합성어로, 매체의 광고시간을 광고주나 광고대행사에 판매하는 것을 매체를 대신하여 담당하며, 우리말로는 '방송광고판매대행사'를 말함

- 광고시간을 전문적으로 위탁판매하고 판매대행 수수료를 받는 회사이며, 일부 유럽에서는 판매미디어렙을 미디어 판매회사(media sales house)라고 부르기도 함

- 특정 매체에 전속되어 그 광고지면이나 시간을 광고주나 대행사에 판매하여 수수료를 받는 특수 광고대행사를 말함

- 각종 매체기업을 대신하여 광고주들로부터 광고를 수주하고, 광고주와 광고회사에 광고분석, 광고기법 등 과학적인 매체자료를 제공해주는 역할도 하고 있음

- 방송사나 포털 사이트 등 매체기업의 위탁을 받아 광고를 수주하고, 대행 수수료를 받는 회사이며, 이같은 대행체제로 운영하면 미디어 매체는 편성과 제작을 광고영업과 분리시켜 효율성을 확대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음

- 미디어렙은 취급하는 매체의 종류에 따라 동종 매체만 취급하는 형태와 다른 매체를 함께 취급하는 형태가 있고, 매체기업과의 관계에 따라 매체기업의 광고만 취급하는 자회사 형태, 매체기업의 자회사이지만 타 매체 광고도 판매하는 형태, 그리고 매체기업과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운영하는 형태로 나누어짐

- 이밖에도 설립자본과 운영주체에 따라 공영 미디어렙, 민영 미디어렙, 국영 미디어렙 등으로 구분하기도 하며, 공영 미디어렙은 공영매체기업의 자회사 형태이며, 민영 미디어렙은 민영방송사에서 운영하는 자회사 형식이거나 독립 미디어렙을 말함

- 우리나라에서는 1981년부터 한국방송광고공사(KOBACO)가 지상파 방송사의 미디어렙 역할을 독점해오고 있는데, 국가의 독점은 방송의 독립성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광고산업의 경쟁력을 떨어뜨린다는 비판이 제기되면서 민영 미디어렙의 설립 등 제도개선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음

 


ㅇ 미디어아트(Media Art)


-
주로 컴퓨터 기술을 사용하여 미디어 본연의 자세를 찾는 예술 표현 방식을 이름

- 비디오나 텔레비전 등을 사용한 작품도 미디어 아트라 부르는데, 이 용어가 빈번하게 사용된 것은 인터넷이나 멀티미디어 기술이 발달한 1990년대 이후임

- 컴퓨터를 이미지 묘사 도구로만 사용한 컴퓨터 그래픽스(CG)와 컴퓨터를 미디어로 사용한 미디어 아트는 별개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음

- 미디어 아트에는 전시장에서 개개인의 신체로 체험하지 않으면 안되는 국부적인 작품 전시 형식에서부터 읽기 전용 콤팩트디스크 기억 장치(CD-ROM)나 플로피 디스크로 배포된 것까지, 통신망을 이용해서 가정의 개인용 컴퓨터(PC)로 참가할 수 있는 편재성(偏在性)이 높은 프로젝트까지 폭넓은 형태가 있음

 


ㅇ 미메시스(Mimesis)


- 플라톤이 이데아와 個物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사용하였으며, 모방(模倣) ․흉내와 함께 예술적 표현도 의미하는
수사학(修辭學)․미학 용어임

- BC 5세기경 피타고라스파(派)에 따르면 음악은 수(數)의 미메시스(모방물)라고 하였으나 이 말은 플라톤에 이르러 비로소 중요한 의미를 가지게 되었는데, 플라톤은 여러 가지 개체(個體)는 개체가 되도록 한 형상(形相: idea)을 흉내낸다고하여, 이에 의해서 현상계(現象界)의 열등성을 증명하는 이유로 삼았고, 플라톤에 따르면 현상계는 원형의 모방임

 


ㅇ 미술은행(Art Bank)


- 미술문화의 대중화 및 미술작품의 수요 창출을 위해 정부가 미술품을 구입, 공공기관 및 일반에 임대하는 제도임

 


ㅇ 미스터리샤퍼(Mistery Shopper)


- 일반 고객으로 가장해 매장을 방문해 제품과 서비스를 평가하는 것을 말함

 


미판매 공연티켓 통합할인제


- 문화체육관광부는 2009년부터 판매되지 않고 남은 공연티켓을 학생과 교사에게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하는 '미판매 공연티켓 통합할인제'를 도입․실시할 예정임

- '미판매 공연티켓 통합할인제'를 통하여 초․중․고 학생과 교사 등의 예술향유 기회를 확대하고 공연장 운영 여건도 개선하는 효과와 무료 티켓이나 초대권 발행을 남발하는 현재의 관행을 개선하고, 대중성과 지명도가 낮은 작품도 홍보 및 수익 혜택을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 한국형 TDF 회원제인 ‘미판매 공연티켓 통합할인제’는 미국 뉴욕의 연극발전재단(TDF, Theatre Development Fund) 회원제를 모델로 삼은 것으로, 공연장이나 공연단체로부터 일자별 미판매 예상 티켓을 수집하여 온라인을 통해 티켓 리스트를 실시간제공하고 청소년, 교사 등에게 정상가의 20~30% 수준 가격으로 판매하는 제도임

- 미국 뉴욕시의 연극발전재단(TDF) 회원제는 브로드웨이 공연티켓을 70~80% 싸게 판매하는 방식으로, 공연 티켓을 기부 받아 TDF 회원들(학생, 교사, 공연예술인, 62세 이상 노인, 공무원, 군인, 성직자 등)에게 저렴하게 제공하며, 수익금은 공연 프로그램 지원에 사용함


 

'ArChiV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화관광용어 시리즈 - ㅁ  (0) 2011.04.11
문화관광용어 -ㅂ,ㅅ  (0) 2011.04.11
문화관광용어 시리즈 - ㄱ  (0) 2011.03.17
다시태어난다면.  (0) 2011.03.09
문화관광용어 시리즈 - ㄴ,ㄷ  (0) 2011.03.08

관련글 더보기